제1금융권 리스트를 정리하면서 제1금융권 종류, 시중은행이란 무엇인지, 시중은행 종류, 시중은행 지방은행 차이점, 국책은행이란 무엇인지, 국책은행 시중은행 차이, 국책은행 종류, 제1금융권 은행 순위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제1금융권 제2금융권 제3금융권 구분
- 제1금융권
- 금융기관 중 은행
- 00은행(명칭이 ‘은행’으로 끝나는 것)
- 은행법 적용
- 제2금융권
- 금융기관 중 비은행
- 00저축은행, 증권사, 보험사, 우체국, 카드사, 캐피탈, 새마을금고, 농업협동조합 등
- 특별법 및 은행법 적용
- 제3금융권 비금융기관
- 대부업체
- 대부업법 적용
제1금융권 은행 리스트
제1금융권 은행 리스트 20개
제1금융권 은행 리스트에는 KDB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SC제일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한국씨티은행, Sh수협은행, DGB대구은행, BNK부산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BNK경남은행,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까지 20개의 은행이 있으며, 아래와 같이 일반은행과 특수은행으로 분류됩니다.
- 일반은행
- 시중은행
- 지방은행
- 인터넷전문은행
- 특수은행
- 국책은행
- 특수은행
일반은행
제1금융권 중 일반은행에는 15개가 있는데, 시중은행 6개(국내 4개, 외국계 2개), 지방은행 6개, 인터넷 전문은행 3개로 구분됩니다.
- 일반은행
- 시중은행 6개
- 국내 시중은행 4개
- KB국민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하나은행
- 외국계 시중은행 2개
- SC제일은행
- 한국씨티은행
- 국내 시중은행 4개
- 지방은행 6개
- DGB대구은행
- BNK부산은행
- 광주은행
- 제주은행
- 전북은행
- BNK경남은행
- 인터넷 전문은행 3개
- 케이뱅크
- 카카오뱅크
- 토스뱅크
- 시중은행 6개
특수은행
제1금융권 중 특수은행에는 5개가 있으며, 국책은행 3개와 일반 특수은행 2개로 구분됩니다.
- 특수은행
- 국책은행 3개
- KDB산업은행
- 한국수출입은행
- IBK기업은행
- 특수은행 2개
- NH농협은행
- Sh수협은행
- 국책은행 3개
제1금융권 종류
2가지 종류로 구분하는 기준
제1금융권은 적용되는 법률에 따라 2가지 종류로 구분되는데, (1) 은행법이 적용되는 일반은행, (2) 특별법 및 은행법이 적용되는 특수은행이 있습니다.
- 제1금융권 종류
- 일반은행 – 은행법 적용
- 특수은행 – 특별법 및 은행법 적용
일반은행
제1금융권 중 일반은행이란 은행법이 적용되는 은행을 뜻하며, 일반은행은 영업구역이나 영업방식에 따라 3가지(시중은행, 지방은행, 인터넷전문은행)로 구분됩니다.
- 시중은행 – 전국을 영업구역으로 함
- 국내 시중은행
- 외국계 시중은행
- 지방은행 – 전국을 영업구역으로 하지 않음
- 인터넷 전문은행 – 인터넷전문은행법 및 은행법 적용
인터넷 전문은행은 특례법에 따라 설립되었으므로 특수은행으로 볼 여지도 있지만, 특수은행이 특별한 목적을 위해 설립된 반면, 인터넷전문은행은 "은행업"을 전자금융거래 "방식"으로 운영(인터넷전문은행법 제2조)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므로 특수은행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특수은행
제1금융권 중 특수은행이란 일반은행과 달리 은행법 이외에 특별법이 우선적으로 적용됩니다. 즉, 특수은행이란 특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별법을 제정해서 설립한 은행을 말합니다. 특수은행은 설립 근거인 특별법에 따라 5가지로 구분됩니다.
- KDB산업은행
- 한국산업은행법 및 은행법 적용
- 한국수출입은행
- 한국수출입은행법 적용(은행법 적용하지 않음)
- IBK기업은행
- 중소기업은행법 및 은행법 적용
- NH농협은행
- 농업협동조합법(제161조의 11) 및 은행법 적용
- Sh수협은행
- 수산업협동조합법(제141조의 4) 및 은행법 적용
특수은행이 특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립된 은행이므로 보통 국책은행이라고도 하는데, 국책은행이 무엇인지는 아래에 정리하였습니다.
국책은행
국책은행이란
국책은행이란 법령에 명확한 정의 규정이 없으나, 국가의 특별한 정책으로 설립된 은행이거나 국가의 공적 자금으로 설립된 은행을 말합니다.
국책은행 종류
금융위원회에 의하면, 국책은행이란 정부가 공적자금을 출자한 은행을 뜻하며, 국책은행 종류로 3가지(IBK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KDB산업은행)를 들고 있습니다.
국가의 특별한 정책에 따라 설립된 은행이라는 견해
국가가 특별한 목적(정책)을 달성하기 위해 설립한 은행을 국책은행으로 볼 경우, 특별한 목적 달성을 위해 설립된 특수은행(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농협은행, 수협은행)은 모두 국책은행에 속합니다.
- 예를 들어 정부는 산업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산업은행법을 제정하여 산업은행을 설립하였고, 해외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수출입은행법에 따라 수출입은행 설립하였으며,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중소기업은행법에 따라 기업은행 설립하였고, 농업 지원을 위해 농업협동조합법에 따라 농협은행 설립하였고, 수산업 지원을 위해 수산업협동조합법에 따라 수협은행을 설립하였습니다.
국가가 공적자금을 출자한 은행이라는 견해
정부가 공적자금을 출자한 은행을 국책은행으로 볼 경우, 특수은행 중 KDB산업은행, IBK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이 국책은행에 속합니다.
시중은행 국책은행 차이
(1) 국책은행을 정부의 특별 정책에 따라 설립된 은행이라고 보는 견해에 의하면, 국책은행에는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이외에 농협은행과 수협은행까지 포함되고, 시중은행에는 국내 시중은행과 외국계 시중은행이 있다고 봅니다.
- 국책은행 – 특수은행(산업, 기업, 수출입, 농협, 수협)
- 시중은행 – 국내 시중은행(국민, 신한, 하나, 우리), 외국계 시중은행(SC제일, 한국씨티)
(2) 국책은행을 정부의 공적자금이 출자된 은행이라고 보는 견해에 의하면, 국책은행에는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만 있고, 시중은행에는 3가지 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은행이 모두 포함된다고 봅니다.
- 국책은행 –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 시중은행 – 국내 시중은행, 외국계 시중은행, 인터넷전문은행(케이뱅크, 토스뱅크, 카카오뱅크), 농협은행, 수협은행
시중은행
시중은행이란
시중은행이란 국어사전상 도시 생활 속 은행을 의미하므로 지방은행과 달리 전국을 영업구역으로 하는 은행을 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법률적으로 시중은행이 무엇을 뜻하는지 정의되어 있지는 않지만 국세기본법, 국유재산법, 공유재산법 등은 이자율을 규정하면서 “시중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의 평균 수신금리”를 고려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은행법상의 은행만 “은행”이라는 상호가 가능하므로(은행법 제14조), 시중은행이란 은행법이 적용되고, 예금상품을 취급하는 전국을 영업구역으로 하는 은행을 뜻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국유재산법 시행령 제30조(사용료의 납부시기 등) ⑤ 법 제32조제2항 전단에 따라 사용료를 나누어 내게 하려는 경우에는 사용료가 5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연 12회 이내에서 나누어 내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남은 금액에 대해서는 시중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의 평균 수신금리를 고려하여 총괄청이 고시하는 이자율(이하 “고시이자율”이라 한다)을 적용하여 산출한 이자를 붙여야 한다.
시중은행 종류
시중은행이란 전국을 영업구역으로 하는 은행을 뜻하므로, 시중은행 종류를 분류하는 견해는 일정하지 않지만 크게 2가지 의견이 있습니다.
(1) 시중은행을 지방은행과 비교하여 전국을 영업구역으로 하는 은행이라고 보는 견해에 따르면 시중은행에는 국내 시중은행 및 외국계 시중은행 6개(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SC제일은행, 한국씨티은행)가 있습니다.
(2) 시중은행을 국책은행과 비교하여 국가의 정책이나 자금과 무관하게 전국을 영업구역으로 하는 은행이라고 보는 견해에 따르면, 시중은행에는 국내 시중은행, 외국계 시중은행, 인터넷 전문은행, 국책은행 제외한 특수은행(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SC제일은행, 한국씨티은행, NH농협은행, Sh수협은행,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이 있습니다.
시중은행 지방은행 차이
시중은행을 제1금융권 중 일반은행만 해당된다고 보는 견해에 의하면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은 모두 제1금융권 중 일반은행에 속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시중은행은 전국을 영업구역으로 하는 은행을 뜻하고, 지방은행은 전국을 영업구역으로 하지 않는 은행(특정 지방을 영업구역으로 하는 은행)을 뜻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 시중은행 6개
-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SC제일은행, 한국씨티은행
- 지방은행 6개
- DGB대구은행, BNK부산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BNK경남은행
6대 시중은행
6대 시중은행이란 지방은행과 비교하여 분류한 개념으로 국내 시중은행(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과 외국계 시중은행(SC제일은행, 한국씨티은행)을 말합니다.
5대 시중은행
사람들이 빅 파이브로 손꼽는 5개의 시중은행에는 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이 있습니다.
제1금융권 은행 순위
(1) 총자산에 따른 순위
순위위 | 은행 | 총자산 (조) |
---|---|---|
1 | 국민은행 | 506.4 |
2 | 하나은행 | 475.5 |
3 | 신한은행 | 447.9 |
4 | 우리은행 | 424.1 |
5 | 기업은행 | 407.1 |
6 | 농협은행 | 392.2 |
국민은행의 총자산 506.4조, 하나은행의 총자산 475.5조, 신한은행의 총자산 447.9조, 우리은행의 총자산 424.1조, 기업은행의 총자산 407.1조, 농협은행의 총자산 392.2조입니다.
(2) 당기순이익에 따른 순위
순위 | 은행 | 당기순이익 (억원) |
---|---|---|
1 | 산업은행 | 28,145.9 |
2 | 국민은행 | 17,558.1 |
3 | 하나은행 | 17,406.9 |
4 | 신한은행 | 14,616.9 |
5 | 우리은행 | 13,165.9 |
6 | 농협은행 | 12,475.1 |
7 | 기업은행 | 12,004.2 |
8 | 부산은행 | 2,654.3 |
9 | 대구은행 | 2,405.6 |
10 | SC제일은행 | 2,112.4 |
11 | 카카오뱅크 | 1,838.4 |
12 | 한국씨티은행 | 1,777.1 |
13 | 경남은행 | 1,622.1 |
14 | 수협은행 | 1,462.1 |
15 | 광주은행 | 1,404.3 |
은행별 당기순이익을 살펴보면, 산업은행 28,145.9억원, 국민은행 17,558.1억원, 하나은행 17,406.9억원, 신한은행 14,616.9억원, 우리은행 13,165.9억원, 농협은행 12,475.1억원, 기업은행 12,004.2억원, 부산은행 2,654.3억원, 대구은행은 2,405.6억, SC제일은행 2,112.4억원, 카카오뱅크 1,838.4억원, 한국씨티은행 1,777.1억원, 경남은행 1,622.1억원, 수협은행 1,462.1억원, 광주은행 1,404.3억원입니다.